Page 69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69
Question and Answer
KBC-2016과 [KDS41 10 15 :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은 도로교시방서가 개정된 [KDS 24 12 21 : 교량설계
하중]을 따르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때 바닥판 설계용 하중은 차륜의 면적을 구하고 흙의 높이에 따라 접지면의 면적을 늘여 등분포하중으로 계
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보와 거더는 표준트럭하중의 영향과 표준차로하중에 표준트럭하중의 75%를 더한 하중 중에서 큰 값으로 설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 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상부 무근콘크리트 포함 표토두께 1,200mm(양질의 입상채움), 소방차(고가사다리차, 총하
중 320kN)의 하중산정
1. 슬래브 설계용 등분포 하중
(1) 뒷바퀴 차륜 집중하중 (P) - 1등교 하중의 총중량 비로 환산
P = (192kN×320/510) / 2 = 60.2kN
(2) 충격계수 산정
-4
-4
IM = 40(1.0 - 4.1 x 10 ×DE) = 40(1.0 - 4.1×10 ×1200) = 20.3%
(3) 차륜 접촉면적 치수
면적(A) = (12,500/9)×P = (12,500/9)×60.2 = 83,611㎟
2.5×a×a = A에서 길이(a) = SQRT(83.611/2.5) = 183mm
폭(b) = 2.5×183 = 458mm
(4) 바닥판에 작용하는 접지압 산정 (양질의 입상채움)
길이(a2) = a + DE×1.15 = 183 + 1,200×1.15 = 1,563mm
폭(b2) = b + DE×1.15 = 458 + 1,200×1.15 = 1,838mm
접지압(W) = 60.2×1.203 / 1.56m×1.84m = 25.2kN/㎡
※ 슬래브 설계용 등분포 활하중 = 25.2kN/㎡
2. 주거더를 설계하는 경우의 설계차량활하중
(1) 4.3.1.3.1에 정의된 표준트럭하중의 영향
(2) 4.3.1.3.1에 정의된 표준트럭하중 영향의 75%와 4.3.1.3.2에 정의된 표준차로하중의 영향의 합
위 (1), (2)중에서 큰 값으로 설계해야 하나 이는 교량의 주거더 설계시 적용하며 건축구조 실무에서는 구조
물의 경간이 다양하고 복잡하여 이 방법은 추천하지 않고 있습니다.
위 예시와 같이 소방차와 같은 중차량(총중량 320kN) 하중은 등분포 활하중으로 환산 시 25.2kN/㎡으로 매우
큰 하중으로서 차량 이동선상의 구조설계시 적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소방차 하중은 건물이 존치하는
동안의 상시 하중이 아니므로 엔지니어의 판단에 따라 하중의 단기 혹은 중기효과를 고려하여 적용해도 큰 문
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