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65
Question and Answer
Strcutural Engineers Column
Disclaimer
구조기준의 적용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답변은 보편적인 구조기준에 따른 것이며 답변의 완성도와 정확도 그리고 답변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결과까지 보증해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상담내용과 관련한 결정과 행동을 하기 전에 반드시 관련 건축구조기술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Q 중량차량 하중에 대한 문의
중량차량을 적용하여 설계를 하려고 하는데 현재 코드에서는 도로교설계기준을 준하여 설계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로교설계기준의 경우, 표준트럭하중과 표준차로하중으로 구분되어져 있을뿐 이를 바탕으로 건축구조에서 필요한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듯합니다. 현재 실무에서는 적용하고 있는 하중 산정방법은
1) 방법 1 : (1+0.3)×(0.4/1.8)×차량하중/(1.8×1.8)적용하여 반영하는 방법
2) 방법 2 : 최대 차륜하중을 이동하중으로 적용하고 이에 따른 최대 모멘트 및 전단력을 구하여 등분포하중을 반영
하는 방법 2가지를 적용하여 반영중인 듯합니다.
여기서,
1) 방법1의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차량하부에 일정한 토심이 확보되어 토심 높이에 따라 분산되는 현상에 따른 하중
선정 방법으로 판단됩니다. 이 경우 토심이 없는 상황에서 접지압을 바탕으로 활하중이 산정되어 일부 접지면에
작하는 활하중을 적용하여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접지면적(1.8×1.8)을 적용하여 적용하는 것인지?
[1.3×0.4/1.8×510/(1.8×1.8) = 45.48kN/㎡]
2) 방법2의 경우, 이동하중에 따른 작용 활하중을 산정한다면, 단위길이당 작용하는 등분포하중은 구할 수 있으나
차량이 한 공간에서 차량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고려해 볼 때 너무 과도한 활하중을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듯합니다.
[단순보에 작용하는 이동하중 산정시 510kN의 차량을 바탕으로 차륜간 거리 7.2m 슬래브 경간이 4.0m로 간주하
여 풀어보면 최대차륜하중 (192kN/2)를 적용하여 풀어보면 91.01kN/m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계산됨]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