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80
Q & A
A
특수구조건물은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올 초에 답변한 내용은 성능기반 내진설계가 특수한 설계, 시공
공법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만을 한 것입니다.
[답변 1]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하는 건물이 특수한 설계, 시공공법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대부분은 구조심의 대
상건물입니다.
왜냐하면, 성능기반 내진설계는 주로 특수전단벽 적용 대상인 60m 이상의 건물인데 구조심의 대상인
다중이용건축물이 16층 이상인 건축물이며 이 외의 조건 즉, 6개 층 이상을 지지하는 전이구조인 경우
가 많기 때문입니다.
[답변 2]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했다고 구조심의가 프리패스 된다는 근거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질의자께서 우려하시는 지역계수 상향 적용문제는 심의위원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에 기술사회 차원에서 대응
하기는 어려우며 심의위원의 과다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지자체 민원으로 해결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참고로,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에서는 S4지반 중 평균전단파 속도 360m/sec 이상인 경우 지반
증폭계수 보정, 전단파 속도 260m/sec인 경우 지하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지반증폭계수 보정을 통해 내진설
계범주 조정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성능기반 내진설계, 인방댐퍼 설계, 피어리뷰 등에 관한 신뢰성 문제, 설계결과에 대한 책임은 모두 원설계자에
게 있으므로 신중히 접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성능기반 설계가 내진설계, 내풍설계, 내구성 설계, 내화설계 등 다방면에서 적용되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대세
가 되어 가기 때문에 성능기반 내진설계는 활용의 폭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해석 조건, 피어리뷰 절차나 방
법 등이 체계화 되면 신뢰성 문제는 점차 사라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성능기반 내진설계 결과물이 기존의 탄성해석에 의한 설계 결과와 유사하다는 자료가 많이 축적되면 중약진 지
역인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특수전단벽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선 또는 생략하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학계와 논
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78 건 축 구 조 2021 _ 07 _ 08 제28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