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57
의강 마춘경 선생님
종합건축이 수행한 프로젝트 중 의강 선생님께서 지도하신 프로젝트로서 · 공간구조 ; 부산역사(1964), 순복음교회(1971), 부산구덕체육관(1966 사
기억에 남는 것은 국회의사당 바닥의 4등분격자보 해법과 지붕돔의 직하 진), 독립 기념관(1984) 등이 있다. 구덕체육관(사진) 지붕은 4각지점 위
부에 드럼층을 넣는 설계로 일본 신닛데스 설계, 시공중 뒤틀림현상 원인 에 지지된 직경 80여m의 철골조 Hyper Shell로써 당시 국내에선 의강
분석, 영등포 사학연금회관의 강제말뚝 재하시험 현장관측, 서울역 앞 철 선생만이 해결 가능했던 것으로 기록에 남아 있다. 소개된 20여 건물이
도청 청사(대우빌딩)의 설계변경과 일제 H형강, 세종로 정부제2청사 비 모두 해방 이후 건설된 규모가 크고 시대를 대변하는 획을 그은 건축물
상구 철골기둥 배치와 접합, 여의도 한국거래소 매매입회장의 철골격자트 이다. 의강 선생 한 분이 이렇게 혁혁한 실적을 남기신 사실은 지금에도
러스 등등 모두 지금도 새롭다. 특히 빈틈없는 구조계산서의 구성과 내용,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당시 필자의 젊은 나이에 비해 큰 프로젝트에서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었
음은 큰 행운이었다. • 국회의사당 콘크리트 바닥의 4격자보 해석
주경재 선생님은 1975년경 건국대학교로 옮기신 후 자문은 뜸하셨고, 기둥간격 10.8m×10.8m. 기둥간 판을 격자보로 구획한다면 十자, 井
김창우 소장님이 1979년 45세 일기로 요절한 후 외부자문 방식은 자체 해 자, 그리고 둘을 합친 4격자형. 그러나 당시 컴퓨터의 도움이 없었으므로
결로 바뀌었다. 나로서는 그만큼 배움의 기회가 줄어든 셈이었다. 일반해석법으로 4격자보 응력 해석은 만만치 않았으나 의강 선생님의 명
쾌한 4격자해석법은 한동안 구조계의 화제였다.
■ ‘목구회’ 회원
의강 선생님은 내노라하는 건축가의 모임인 목구회의 회원이셨다. 목요
일에 만나서 밥과 말을 나눈다는 ‘木口會’. 1965년부터 매달 모임을 열어
건축이야기로 불꽃을 튀겼다고 했다. 목구회는 2021년이 창립 56돐로 초
창기는 건축가 고김수근 선생(1931~86)의 안국동 사무실 팀과 무애건축
연구소(대표 이광노) 팀이 주축이었다. 서울대 건축학과 선후배 사이인 이
들은 현실 설계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을 나누며 한국건축의 세대교체를 이
뤘다. 1년 뒤 금우회, 한길회 등이 출범하며 한국건축에 대한 논의가 본격
화됐기에 목구회의 역할은 오늘까지 평가를 받고 있다. 회원 22명. 원정
수, 이상순, 고마춘경, 김인석, 고김병현, 우규승, 조창걸, 임충신, 김원,
고김석철 등... 건축가 모임에 유일한 구조전문가 이셨다고 했다. 건축가
[그림 2] 국회의사당의 파라펫 상부로 지붕돔과 직하부 드럼층이 보인다
와 소통의 중요함을 아셨기에
■ 프로젝트
의강 선생님은 1960년대 후반 1990년대에 김중업 건축연구소, 중앙산
업, 무애건축 및 종합건축 등의 유수한 사무소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셨다.
대한건축학회 <건축구조60년사(2006)>에 기록된 의강 선생님의 구조설계
실적 중 중요한 것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조 건물 ; KAIST연구동(1966), 대연각빌딩(1967), 국회의사
당(1968 사진), 루스채플(1974), 부산민중역사(1964), 한국증권거래소
작 품 개 요
(1977), 과천국립현대미술관(1983) 등이 있다. 한옥을 품고 하늘에 뜬 거 •작 품 명 : 서소문 KAL 빌딩
대지붕 연세대의 루스채플(건축가 김석재)은 한국의 현대건축에 남을 •설 계 자 : 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위
치 :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41-3
캔틸레버구조의 압권이다. •연 면 적 : 38.441㎡
•규 모 : 지상 16층
•구 조 : S.R.C
•준공연도 : 1984.
· 강구조 건물 ; 대우빌딩(1969), 외환은행(1974), 극동빌딩(1975), 사학연 [그림 3] 서소문 KAL빌딩
금회관(1979), 서울신문사(1981), 한일개발사옥(1983 사진), 한화빌딩
(1983), 현암빌딩(1983), 유니온센터(1988), 동아생명사옥(1989), 전쟁기
념관(1989, 전봉수), 금융감독원(1990) 등이 있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