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22
특 집
특 집 0 4
광주 건축물 해체 붕괴사고 관련 제도 개선 제언
| 조 성 구 | | 최 일 섭 | | 고 창 우 |
홍보위원회 부회장 4차산업위원회 부회장 정책위원회 부회장
㈜빌딩닥터엔지니어링 대표 ㈜연우에스씨티, ㈜티섹구조엔지니어링 대표
㈜연우테크놀러지 대표
1. 목적 ○ 구조물에 대한 해체단계별 구조안전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음
현재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건축물이 전국에 약 270만동으로 많은 건 ○ 해체계획서에 구조검토가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해체계
축물들이 노후화되고 재건축 및 재개발, 리모델링을 위한 해체공사가 증가 획서 대로 해체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하고 있으며, 지난 6월 9일 광주시 학동 재개발 현장의 도로 인접 건축물 ○ 감리자의 감리감독 부실 및 역량부족
해체공사중에 건물 붕괴로 인하여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
습니다. 다시는 광주 건축물 해체 붕괴사고와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정부
2018년 동작구 재개발현장 해체 붕괴사고, 2019년 서초동 근생 해체 공 의 적극적인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므로,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사 붕괴사고등 해체공사현장중 붕괴사고는 해마다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 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드리니
습니다. 사고가 발생할때마다 개선 대책은 내놓고 있으나 붕괴를 방지하고 적극적인 반영 바랍니다.
구조물을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한 해체계획의 방법, 구조 안정성 확보방안
등 해체 전반에 대한 실질적인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현재 해체계획 시 “건축구조안전전문가”의 협력이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아 해체공사에서 붕괴 및 사고 위험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됩
니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해체공사현장 붕괴사고를 보면 중·저층 건축물에
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 건 축 구 조 2021 _ 07 _ 08 제28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