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27
포스트텐션 구조설계 개요 및 적용사례
교량이나 건축물의 Transfer Girder, Transfer Plate 등 부재가 큰 곳에 사 4) 콘크리트
용됩니다. 포스트텐션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의 요구사항으로는 압축강도가 높아
야 합니다. 기준에서 요구하는 최소 콘크리트강도는 30MPa입니다. 콘크
[표 1] 비부착공법과 부착공법 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는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 중 하나이므로, 이러
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를 줄이기 위해서는 건조수축과 크리프가 적게 일
비부착 공법 (UN-Bonded Method) 부착 공법 (Bonded Method)
공법 미충전 충전 어나는 콘크리트라야 합니다. 긴장시 콘크리트 강도는 설계강도의 70%인
특성
21MPa 이상일 경우 긴장하도록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오차를 고려하여
24MPa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때 시험공시체는 수중양생이 아닌
현장상황과 유사한 대기 중에서 양생된 시험체를 기준으로 합니다.
시공 ▷ 내화성능
전경
포스트텐션 내화성능을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 두께는 무근콘크리트, 철
근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내화성능과
3)
2)
1)
관련하여 ACI , IBC , UBC code를 정리하여 실제 PT현장에서 배치되는
강연선에 대한 내화성능 확보를 위한 피복두께는 다음과 같습니다.
포스트텐션 구조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구조기준
구분 항목 기준 내용
보 As = 0.004Act
A s = [그림 5] PT부재의 내화성능을 위한 피복두께(슬래브)
최소부착 KBC2009 슬 부모멘트 모든 경우
철근 0509.5.3 래 0.00075A cf
브 정모멘트 콘크리트에 0.17 f ck 이상 A s = N 0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0.5f y
비
부 최대 배치 간격 1.8m
착 1방향 프리 KBC2009 최소 압축 응력 0.7MPa
스트레스 0505.7.3
슬래브 0.7MPa 이하인
영역 처리 철근 배근
2방향 프리 최대 배치 간격 1.5m or 슬래브 두께의 8배
스트레스 KBC2009
0509.8.2
슬래브 최소 압축 응력 0.9MPa
[그림 6] PT부재의 내화성능을 위한 피복두께(보)
부 최소 KBC2009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r을 기초로 하여 계산된 균열하중의
착 부착철근 0509.5.2 1.2배 이상의 계수하중을 받는 데 충분한 철근
5) PS강연선
3) 포스트텐션 부재 장단점 PS강연선은 이완값, 강종, 강선수, 강선단면 형상에 따라 분류가 되며,
포스트텐션에 사용되는 PS강연선은 SWPC 7BL입니다.
[표 3] 포스트텐션 부재의 장단점
[표 4] PS강연선 표기 방법
구분 내용
비균열설계로 내구성 및 수밀성이 좋다. N-중이완(Normal Relaxation)
부재높이가 작아 층고 확보에 유리합니다. 이완 값 L-저이완(Low Relaxation)
장점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솟음으로 처짐에 유리합니다.
RC와 일체화시공으로 횡력에 유리합니다. 강종 A-1, 720MPa, B-1, 860MPa
SWPC-7-B-L
시공시 전문인력이 필요합니다.
접합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강선수 1-1ea, 2-2ea, 3-3ea, 7-7ea, 19-19ea
단점
설비덕트 등 오픈에 제약이 있습니다.
고강도 재료의 사용으로 재료비 단가가 비싸다. 강선 단면 형상 SWPC-원형강선, SWPD-이형강선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