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31

포스트텐션 구조설계 개요 및 적용사례




            경우 정착구는 고정단 대신 2개의 인장단으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강연선                [표 9] 기준별 신장량 관리 방법 및 오차범위
            의 좌우인장단에서 긴장작업을 실시합니다. 이는 강연선 길이에 따른 긴장
                                                                                ACI 318           도로교 표준시방서
            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계측방법    오차범위  계측방법          오차범위
                                                                                                 15m미만  개별:15%, 전체:7%
                                                                    프리텐션   압력/신장량    ±5%   신장량
                                                                                                 15m이상  개별:10%, 전체:5%
                                                                                                 15m미만  개별:15%, 전체:7%
                                                                   포스트텐션   압력/신장량    ±7%   신장량
                                                                                                 15m이상  개별:10%, 전체:5%

                                                                  6) 캡 설치 및 마감
                                                                    긴장작업이 완료 후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강연선을 절단하고 정착장치
                                                                  에 캡을 설치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무
            [사진 11] 인장정착구 포켓포머 제거작업(좌), 긴장작업(우)                   수축몰탈을 사용하여 마감을 하게 됩니다.


             긴장작업 시 사전에 작성된 신장량계산서를 바탕으로 작업을 실시합니
            다. 신장량과 인장력의 오차범위 한계는 해외 기준들에서도 서로 차이가
            있으나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구조적으로 인장력 오차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ACI8)에서 제시한 ±7%까지 오차를 허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되며, 짧은 긴장재에 대해서는 인장력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됩니다.
             프리스트레싱의 관리는 하중계의 지시값과 긴장재의 신장량에 따라 해
            야하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의 관계가 직선으로 되어가는 것을 확인                [사진 13] 강연선 절단 ; 유압절단기(좌) 프라즈마 절단기(우)
            하여야 합니다. 직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확
            인하여야 합니다. 신장량은 mm단위로 측정이 되어야 하고, 현장에서 확
            인된 마찰계수와 탄성계수 등을 반영한 이론적인 계산값과의 차이는 15m
            이하의 짧은 텐던에서는 각각의 텐던에 대해 ±15%, 전체 텐던에 대해 ±
            7%를 넘지 않아야 하며, 15m 이상의 긴 텐던에서는 각각의 텐던에 대해
            서 ±10%, 전체 텐던에 대해서 ±5%를 넘지 말아야 합니다.(도로교 표준
            시방서) 9)


                                                                  [사진 14] 마감캡설치(좌), recess 되메우기(우)


                                                                    이전에는 강연선 절단 시 그라인더나 프라즈마 절단기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안전에 대한 문제점과 화재의 위험이 높아 최근에는 유압절단기 를
                                                                                                                 10)
                                                                  사용하고 있습니다.


                                                                  ▷ 부착공법(Bonded System)

                                                                  1) 자재반입
                                                                    부착공법에서는 비부착공법과는 다르게 피복이 없는 강연선을 사용합
                                                                  니다. 이는 쉬스관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긴장 후에 시멘트 그라우팅을 통
                                                                  해 강연선을 내부에서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진 12] 긴장작업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