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33
포스트텐션 구조설계 개요 및 적용사례
7) 인장정착구 지압판 설치 그라우팅 작업이 마무리되면 정착구 후면 Block Out 부분은 무수축 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Block Out Box를 제거하고 인장정착구에 지압판을 탈등을 이용하여 되메우기를 실시합니다.
설치합니다. 고정단과 마찬가지고 강연선마다 쐐기를 이용하여 고정합니다.
4. 포스트텐션 시공사례
▷ 00 여성비전센터 건립사업
[사진 20] 인장정착구 지압판 설치
8) 강연선 긴장
부착공법에서의 긴장작업은 비부착공법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다수의
강연선을 한번에 긴장하기 때문에 부착공법에서 인장기의 크기와 무게가 [사진 23] 조감도
커서 인력이 아닌 크레인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인장작업을 실시합니다. 긴
장작업이 완료되면 고정정착구와 같이 캡을 씌워 마무리합니다. 건축물 규모는 지하3층/지상3층입니다. 포스트텐션 적용구간은 지
하1층의 야외마당(적용길이 27.5m)과 지상1층의 옥외주차장(적용길
이 24.3m) 보 구간으로 적용하중이 고하중임을 감안하여 비부착공법
(Unboned)이 아닌 부착공법(Bonded)을 적용하였습니다. 보 인접슬래브는
강연선 긴장작업 완료 후 슬래브를 타설하여 균열을 제어하였습니다.
[사진 21] 긴장작업
9) 그라우팅 및 마감
그라우팅이란 쉬스관(또는 덕트)에 삽입된 강연선을 긴장한 후, 이를 수
분이나 염화물과 같은 외부의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시멘트
계 재료를 사용하여 쉬스관 내부를 밀실하게 채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때 한쪽에서 가압하여 주입하면서 가까운 측부터 토출되는 시멘트액을 확
인하여 봉인합니다.
[사진 22] 그라우팅 작업 [그림 13] 확대 구조평면도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