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30
구조설계기사
프로파일(Profile)을 위해 고임대(지지철근, Bar chair)를 설치하여 강연선 포스트텐션 부재는 강연선 긴장 전까지는 구조내력을 발휘할 수 없기
을 배치하게 됩니다. 보의 경우 스터럽철근에 지지철근을 설치하여 강연선 때문에 긴장작업 전까지 동바리를 존치시켜야 하며, 동절기를 기준으로 동
을 배치합니다. 바리 존치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계하중 (kN/㎡) 여유하중 (kN/㎡)
마감 2.30
콘크리트슬래브 6.00 마감 2.30
Ceiling 0.50 Ceiling 0.50
고정하중 8.80 고정하중 2.80
활하중 5.00 활하중 5.00
13.80 7.80
[그림 10] 포스트텐션 보와 슬래브의 일반적인 강연선(긴장재) 배치현상(Profile) 하중
개념도 현장상황
하중종류 추가하중
N-2층 긴장 완료 후 타설
타설
N층 준비층 작업하중 1.50 kN/㎡
Σ 하중 = 1.50 kN/㎡
거푸집 및 동바리 1.00 kN/㎡
N-1층 양생층 강연선 내력 미발휘 슬래브 자중 6.00 kN/㎡
Σ 하중 = 8.50 kN/㎡
[사진 8] 지지철근 설치
긴장 거푸집 및 동바리 1.00 kN/㎡
N-2층 준비층 강연선 내력 미발휘 슬래브 자중 6.00 kN/㎡
Σ 하중 = 15.50 kN/㎡
강연선 설치시 인장정착구는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 후 긴장력을 도입
하는 부분으로 설치 시 시공도면과 구조계산서를 참고하여 정확한 위치에
거푸집을 천공해야 하며, 포켓포머(Pocket former)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 긴장 15.50 kN/㎡
태의 홈을 형성합니다. 콘크리트 면의 포켓포머 형태의 홈은 강연선 긴장, N-3층 완료층 강연선 내력 발휘 - 7.80 kN/㎡
N-2층 긴장 완료 후 Σ 하중 = 7.70 kN/㎡
절단 후 무수축 모르타르를 채워 추후 수분침투를 막습니다. 또한 강연선 동바리 제거 가능
배치 이후 고정 및 인장 정착구 후면에 보강철근을 배치합니다.
긴장 7.70 kN/㎡
N-4층 완료층 강연선 내력 발휘 - 7.80 kN/㎡
Σ 하중 = 0.00 kN/㎡
N-5층
[그림 11] 포스트텐션 공법 동바리 개념 및 수량
[사진 9] 거푸집 천공작업(좌) 인장정착구(포켓포머) 설치(우) 5) 강연선 긴장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30MPa의 약 80%인
4)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fci=24MPa(긴장시 콘크리트 강도)이상 확보되었을 경우 긴장작업을 실
강연선 설치가 완료되면 전기 시하여야 합니다. 콘크리트 강도는 공시체를 수중양생이 아닌 대기 중 양
배선, 설비배선 등을 설치하고, 생으로 하여 실제 현장과 동일한 조건으로 강도가 측정되어야 합니다. 콘
감리에게 정착구 위치 및 강연선 크리트 강도가 확보되면 포켓포머를 제거하고 쐐기를 삽입하여 긴장작업
의 프로파일 등이 도면과 일치하 을 실시합니다. 긴장작업은 부재 길이에 따라 일단긴장과 양단긴장으로 나
는지를 검측 받으며, 검측 후 문 눌 수 있습니다. 일단긴장은 부재의 총길이(강연선 1가닥의 설치길이)가
제가 없을 경우 콘크리트 타설을 60m 미만일 경우 정착구는 고정단과 인장단으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인장
실시합니다. [사진 10] 정착구 배치 및 강연선의 높이 검측 단에서 긴장작업을 실시합니다. 양단긴장은 부재의 총길이가 60m 이상일
28 건 축 구 조 2021 _ 07 _ 08 제28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