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17

BIM 기반 건축물의 구조설계, 물량산출, 시공상세도 작성 및 공사관리


                                                                                                    Special Report  _   02









                                                                  3. 향후 발전방향
                                                                    발주처의 요구에 의해 건축설계(기획/계획/기본/실시설계)는 기존 설계
                                                                  방식(2D)으로 수행하였으나, 실시설계의 설계오류, 분야별 간섭발생, 도
                                                                  면작성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BIM 업무에 대한 일정지연 등의 차질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점차 기본설계, 실시설계 분야로 BIM 적용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는 종합건설사 중심의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건축사사
                                                                  무소와의 협업을 확대하여 건축기획설계 단계부터 BIM 기술을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전체 설계분야 및 시공분야로 BIM 적용범위를 확대하고자 한
                                                                  다. 또한, 관련사들의 다양한 시행착오와 의견수렴을 통해 구조분야 BIM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하고자 한다.


            2.2.3. 골조공사 공정 시뮬레이션
             (8단계) 지층모델을 포함한 골조 BIM 모델을 활용하여 탑다운공사 터파
            기 순서에 따라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사계획을 수립하였다.















                                                                    앞서 서론에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그동안 사회적 기반환경의 부족,
                                                                  설계분야의 기반환경부족, 이해관계의 상충 등으로 인하여 BIM 기술이 확
                                                                  대적용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제는 정부시책 및 기반환경의 조성으
            2.3. 협력체계 및 조직구성                                      로 우리회 차원에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아래와 같이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건설사(본사)/건설사(현장)/관계협력                 이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는 설계분야 BIM 기술교육, 설계 프로세스 변
            사로 구성되어 진행하였다.                                        화에 대비한 사고의 전환, 축적된 설계결과물에 대한 정보공유, 관련사들
                                                                  (건축사사무소, 분야별 엔지니어링사, 종합건설사, 전문건설사, 철근/철골
                                                                  가공공장 등) 과의 협력체계 구축, ‘건축구조기준(KBC 2009) 시공상세도
                                                                  서에 구조안전확인’ 책임기술자 날인 의무화 시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
                                                                  각된다.
                                                                    무엇보다도, BIM 기술교육을 통한 구조분야 인재육성이 가장 어렵고,
                                                                  시급한 과제일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해 우리회의 업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5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