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14
특 집
특 집 0 2
○ 암반층에 파일을 지지시키는 방법 또한, 오랜 기간동안 발주처와 협의하여 구조용 철근과 시공용 철근의
○ 주변마찰력과 선단지지력를 고려하는 방법 배근상세를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관된 배근 품질확보 및 물량
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1단계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정확한 지층별 터파기량 산출
○ 파일공법별 경제성 분석 및 최적 기초공법 선정
○ 정확한 실행예산 확보
2.1.2. 구조설계분야
(2단계~3단계) 과정에서는 구조설계가 완료된 구조물의 형상정보(부재
정보, 단면크기 정보 등)와 배근정보를 TEKLA Structure BIM 모델로 구
축하고, 구축된 지오메트리 (Geometry) 형상모델을 midas Gen의 단면속
성(Section Properties)별로 전환하여 구조안전성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부재별 안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구조
V.E 설계시에 적용할 계획이다.
2.1.3. BIM 모델구축, 골조마감선 검토 및 설계오류를 사전 검토
공사착공후에도 실시설계도서작성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
며, 기존의 2D 방식의 실시설계도면으로는 설계오류를 전체적으로 신속하
게 검토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BIM 기반으로 신속하게 설계오류를
검토하고, 대안수립을 하였다.
즉, 실시설계 도면을 활용하여 BIM 모델을 구축하고, 실시설계도면(2D
도면)으로 검토하기 어려운 설계오류(램프구간, 계단하부 건축계획고, 단
차 부위, 카운터월의 높이, P.R.D 기둥과의 간섭 등)를 사전 검토하고, 이
를 다시 실시설계에 반영하는 절차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신속하게 의
사결정을 할 수 있었고, 업무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었다.
2단계~3단계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구조시스템별 효율적인 대안설계 및 검토기간 단축
○ 효율적 구조 및 시공 V.E 설계를 통한 경제성 분석 및 철근물량 절감
○ 구조안정성 재검토 및 대안 제시
○ 정밀 골조물량 산출을 통한 실행예산 확보 및 원가절감
12 건 축 구 조 2021 _ 07 _ 08 제28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