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11
BIM 기반 건축물의 구조설계, 물량산출, 시공상세도 작성 및 공사관리
Special Report _ 02
개발 ○ 효율적인 구조 V.E 설계
○ 설계 프로세스 변화에 대한 업무체계 구축 구조 V.E 설계는 발주처의 필요에 따라 오랫동안 추진되어 오고 있으
○ 건축설계, 구조설계, 전기/설비설계 등 설계분야와 시공분야와의 원 며, 기존 설계결과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재검토하여 건설원가를 절감할
활한 데이터 공유 수 있도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BIM 성과물을 활용할 수 있는 시공현장 적용환경 구축
○ 실시설계도서의 효율적 작성 및 품질확보
또한, BIM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관계자들간의 이해관계가 상충됨에 따 공사가 착공된 이후에도 최종 실시설계도서 작성이 완료되지 않음에 따
라 확대 적용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라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공사초기 패스트 트랙(Fast Track)으로 공사가 진
○ 여러 이해관계자에 의해 건설공정이 관리되어 지고 있음. 행되고 있으며, 실시설계도서의 품질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활용주체가 명확치 않음.) 공사착공전에는 실시설계도서 작성이 완료될 필요가 있다.
○ 이해관계자가 추구하는 이익의 성격이 서로 다름.
○ 정보 공유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음. ○ 시공상세도서(SHOP)의 효율적 작성
○ 건축설계사무소가 주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설계비 상승을 기대하기 최근 철근은 대부분 공장에서 가공되고 있으며, 건축구조기준(KBC
어려움. 2009)에 따라 2009년부터 시공상세도서에 구조안전확인을 하도록 의무
화되었다. 구조안전성과 철근 조립편의성을 고려한 철근시공상세도 작성
참고적으로, 사업주체에 따른 주요관심사 및 이해관계는 다음과 같다. 에 대한 건설사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골조공사 및 토목공사의 물량산출
골조물량(콘크리트/철근/거푸집/가시설) 산출과 지층별 토공단가가 달
라짐에 따라 정확한 지층별 터파기량 (절토량/성토량)과 파일지지력 검토
를 통한 파일길이 산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 효과적 공사관리
공사현장에서는 한정된 건설기술자와 과중한 업무(기성관리, 노무관리,
공사관리,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등)로 인하여 건설 업무효율 향상에 대한
1.2. BIM 기술도입 필요성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아파트 및 주상복합 건축물은 고층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나, 설 이러한 건설산업 전반에 걸친 문제를 해결하고, 건설분야 업무효율 향상
계도서의 품질은 낮아지고, 실시설계도서의 출도일정은 공사일정을 따라 및 체계적인 원가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BIM을 기반으로 주거용 건축물 건
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는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에 어 설프로젝트에 대한 해결방안을 설계단계와 공사단계로 나누어 추진하였다.
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결과로 건설 생산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 설계단계에서는 설계관리(건축설계 검토, 흙막이 및 가시설 간섭검토,
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지속적 철근을 포함한 구조안정성 검토, 전기/설비 간섭검토 등), 물량산출, 철근
으로 요구되어 왔다. 시공상세도(SHOP) 작성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공사단계에서는 공정, 기
성 및 품질관리 과정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 효율적인 구조 대안설계
최근 지어지는 건축물들은 철근콘크리트조 초고층 및 대형 건축물이 주 1.3. 정부(국토교통부) BIM 기술도입 추진현황
를 이루고 있으며, 보다 많 은 구조 대안설계를 통하여 골조공사 비용을 절 2020년 12월 국토교통부는 ‘건축 BIM 활성화 로드맵(’21~30)’을 통하여
감할 필요가 있다. 최근 건설 원자재 값의 상승으로 인하여 골조물량이 최 건설산업의 BIM (건설정보모델링) 적용 기본원칙, 적용절차, 협업체계, 공
소화될 수 있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표준 등을 제시하는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과 ‘2030 건축 BIM 활성화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