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13
BIM 기반 건축물의 구조설계, 물량산출, 시공상세도 작성 및 공사관리
Special Report _ 02
본 건축물은 지하 6층, 지상 27층 규모로 4면이 도로와 인접하여 탑다
운 공법을 적용한 현장이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건축물 용도
주상복합 건축물로 장스팬의 문화집회시설(영화관), 판매시설(쇼핑센
터) 및 오피스텔로 구성되었다.
○ 지하층의 구성 및 복잡도
지하층의 판매시설과 주거용 공간의 동선을 분리하고자, 지하층에 7개
의 램프가 복잡하게 배치되어 골조선의 정확한 위치와 레벨 검토가 필요하
였다.
○ 시공공법 2.1.1. 토목분야
탑다운공법 적용현장임에 따라 지하층은 SRC조, 지상층은 철근 (1단계) 지층모델링, 터파기량 산출 및 파일지지력 산정을 통한 파일길이
콘크리트조 전단벽식 구조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며, 지하층 공사시, 산출
P.R.D(Percussion Rotary Drill) 기둥의 시공오차가 예상되어 지속적으로 1단계에서는 시추주상도를 활용하여 보간법(補間法, Interpolation)으로
검측 및 보정 필요성이 예상되었다. 터파기 전의 BIM 지층정보 (깊이, 구배, 지층 물성치, 지하수위 위치 등)
BIM 모델을 구축하였다.
○ 지하 흙막이 공법 또한, 토목굴착계획도를 활용하여 구축된 BIM 모델에 터파기 구배, 단
또한,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이어서 지하흙막이 공법은 슬러리월(Slurry 차를 포함한 터파기 모델을 지층별로 구축한후, 터파기량(절토량, 성토량)
Wall)을 사용하였으며, 지하 암반이 지하 2~3층 구간부터 나타나서 카운 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활용하여 터파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월(Counter Wall)의 설치가 필요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카운터월의 높 방안(내림기초, 파일기초, 일반 지내력기초 등 기초공법 선택)을 검토하여
이를 정확히 검측 및 결정하여 구조검토를 할 필요가 있었다.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적용사례는 아래와 같다.
BIM 업무는 아래와 같은 업무 프로세스에 따라 추진하였다.
2.1. BIM 설계분야 적용사례
따라서, 발주처의 『디지털 혁신』 계획에 따라 아래와 같은 목표에 주안 이어서, 구축된 지층 BIM모델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점을 두어 추진하였다. 파일길이를 산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적용사례는 아래와 같다.
건축구조 및 토목분야 전체 시스템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 N치를 이용여 개략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