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44
기술초대석 | 01
[표 3.3] PCRC 실물 시험 결과요약
층간
실험체 최대 내력 변위 최대 모멘트 설계 모멘트
변위비
S1 293kN 135mm 2.7% 1,457kN·m 1,081kN·m
S2 336kN 200mm 4.0% 1,670kN·m 1,448kN·m
S3 335kN 248mm 5.0% 1,667kN·m 1,448kN·m
(a) 보-기둥 (b) 전단키
S4 332kN 200mm 4.0% 1,650kN·m 1,448kN·m
[그림 3.7] PCRC 실물 실험체
[그림 3.9] PCRC 하중-변위비 포락곡선
[그림 3.8] PCRC 실물 실험체 설치
[표 3.2] PCRC 실물 실험체 변수
실험체 정착바 토크 렌치 전단키
S1 560MPa 유압 有
S2 750MPa 유압 有 [그림 3.10] PCRC 실물 시험 균열양상(층간변위비 4.0%)
S3 750MPa 유압 無
S4 750MPa 수동 有
3.2.2 시험 결과
시험 결과는 표 3.3과 같다. 정착바의 강도가 상이한 S1을 제외하고
S2~S4는 최대내력이 약 335kN으로 유사한 성능을 발현하였다. 따라서
고정 너트의 체결방식과 전단키의 영향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체
별 첫 번째 사이클의 최대내력을 이은 포락곡선은 그림 3.9와 같다.
균열양상은 그림 3.10과 같이, 그라우트 접합부와 기둥 측면 피복의 탈
락이 주로 발생하였다. 또한 그림 3.11의 실험체가 항복하는 시점에서 정
착바의 변형률이 항복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보아, 설계과정에서 유도한 연
성항복이 적절히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11] PCRC 정착바 변형률
42 건 축 구 조 2021 _ 07 _ 08 제28권 / 제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