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건축구조 Vol. 28 / No. 04
P. 41
임시지지 없이 시공효율성을 확보한 조립식 PC골조 시스템 및 공법 소개
Precast Column), 보-기둥 및 거더-보 접합에 적용하는 PCRC(Pre- 드 바를 수용소켓 바닥에 터치다운(touch down)한다(e). 그 후 수용소켓에
tension Clamping Rigid Connection) 시스템으로 구분되며(그림(2.1)), 고정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부재간 접합이 완료되는 개념이다(f). PCRC의
보-슬래브 및 벽-기둥 접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경우, 하부철근 대신 연성항복을 유도하는 정착바를 적용하고, 체결원리는
SSPC와 동일하다. 또한 전단키를 기둥면에 매립되어 있는 너트에 설치한
후 보 단부에 형성된 홈 부분에 임시 거치가 가능하다.
단순하게 고정 너트를 체결하는 즉시, 헤디드 바가 가압 고정되며 저항
성능이 발현된다. 주철근과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압축력과 인장력을 모두
전달하며 응력은 항복을 유도한 연성요소로 전달된다. 따라서 접합부의 현
장콘크리트나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무수축몰탈이 양생되기까지 가설 서
포트를 존치해야 했던 기존 습식공법과 다르게 임시지지 없이 자립 성능이
확보된다. 체결 후, 안정적인 응력전달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접합부 틈
새는 고강도 그라우트를 채워서 마감한다. 두 접합 시스템이 적용된 예시
는 그림 2.3과 같다.
2.2. 접합부 설계강도
2.2.1 SSPC 설계
[그림 2.1] SSPC, PCRC 적용 PC 골조 일반적으로 SSPC는 기둥의 최외각 코너의 주철근에 적용하고 내부 주
철근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강도는 스플라
2.1. 접합 시스템 개념 이스 슬리브 내부 모르타르의 양생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다. 양생 이전에
SSPC와 PCRC에 적용된 접합 시스템의 원리는 유사하다. 먼저 SSPC는 는 시공하중 및 풍하중 등 수평하중에 대하여 코너의 SSPC의 주철근에
상부철근, 커플러, 헤디드 바, 고정 너트, 수용소켓, 하부철근 등으로 구성 의해 휨강도를 설계한다. 체결 즉시 휨강도를 발현함에 따라 임시지지 없
되며 체결과정은 그림 2.2와 같다. 연결 부재 단부의 주철근(상부철근)과 이 외부하중에 안전하게 된다.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모르타르가 양생되
커플러를 연결하고 접합부의 수용소켓과 하부철근을 연결하여 부재를 제 면 기둥의 휨강도는 전체 주철근에 의해 RC 구조와 동등한 강도성능을
작한다(그림 2.2 (b)). 현장에서는 반대쪽에 고정 너트와 결합된 헤디드 바 발현하므로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KDS 14 20 20)1)에 따라
를 체결하여 길이를 조절한다(c). 해당 부재를 접합부에 배치하고(d) 헤디 산정한다.
(a) SSPC 모형 (b) PCRC 모형
(a) (b) (c) (d) (e) (f) (c) SSPC 실물 (d) PCRC 실물
[그림 2.2] 접합 시스템 체결과정 [그림 2.3] 접합 시스템 적용 예시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지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39